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반응형
728x90
반응형

대전 대단한 내과, 헬리코박터균 때문에 10일 동안 약만 먹었습니다

 

올해 건강검진 때문에 갔던 대단한 내과에서 위 수면내시경을 했었는데

보통 결과지가 우편으로오는데 이번에는 전화가 왔습니다.

 

뭘까요?

헬리코박터균이 있으니 약을 처방받아먹으라고 합니다.

헬리코박턱균? 많이 들어봤는데 난나나나나 나난나

위장 내에 기생하는 균이라고 하는데 위에 음식을 먹으면 산이 분비되는데

여기서 사는 대단한 녀석입니다.

위궤양을 앓았거나 한다면 반드시 있을 확률이 높다고 하고,

나중에 위암이 걸리는 경우에 대부분이 이 헬리코박터균이 영향을 미친다고

하니 엄청난 놈입니다.

 

물론, 대부분은 이 균을 안고 암도 안 걸리고 무병장수해서 돌아가시기도 한다고 합니다.

보통 헬리코박터 치료의 경우 4단계까지 있으며

약을 한번 복용하면 매일 쉬지 않고 일정한 시간에 약을 먹어

균을 없앨 수 있다고 하나 중간에 약을 끊은 경우 내성이 생겨

다음 단계에서는 더 독한 약으로 치료해 아주 어려움을 주는 균입니다.

알코올을 먹으면 안 되고 약 부작용으로는 매스꺼움과 구토, 어지러움 등이 있다고 하니

한 번에 치료한다고 10일 동안 약을 아침저녁으로 먹었습니다.

두 번 다시 먹고 싶지 않은 약입니다.

 

완치가 되었는지는 1년 후 위 내시경 검사에서 확인한다고 합니다.

1년 후의 나의 속은 어떻게 되었는지 벌써  궁금해집니다.

728x90
반응형
:
Posted by mapagilove
728x90
반응형

대전 복합터미널 고속화물 택배 이렇게 이용하세요

안녕하세요. 마파기 입니다.

 

이번 포스팅 주제는 고속 화물택배입니다.

제가 쓰고 있던 낚싯대와 가방을 중고 매물로 내놓았는데 근 거리분들과 거래가 안되어

포항분과 거래하게 되었습니다.

 

이번에 새로 안 사실,

어떤 택배회사든 1m 초과 물품은 받지 않는다고 합니다.

우체국, CJ 택배 등 많은 택배회사에 전화를 걸어보았지만 접수를 안 받는다고 하니

난감한 상황이더라고요.

 

그래서, 화물에 전화를 해보았더니 요금이 뜨악,

3만원 이상이라 범접하기 곤란한 정도 .. 그래서, 머리를 굴린게 고속버스 화물택배,

 

화물택배를 보내는 방법은 복합터미널로 들어가 입구에서 우측,

표 발행부스 맞은편으로 가면 아래와 같이 부스가 나오는 데 이곳에서

발송할 수 있습니다.

 

 

 

 

 

요금은 아래 표를 참고하시면 되고요. 현금이 없으시면 자동이체도 되니 참고하세요.

 

 

제품을 맞기고 영수증을 받으시고 해당 영수증을 찍어서

수령인에게 보내주시면 됩니다.

 

 

위 주차요금과 보관 비용은 참고하셔서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참, 화물 수령은 발송처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728x90
반응형
:
Posted by mapagilove
728x90
반응형

대전 금호크루젠 235 55/R19 타이어 무료 장착 후기

안녕하세요. 마파기 입니다.

 

우선 제 후기는 협찬이 아닌 직접 내가 사서 장착해본 후기입니다.

얼마 전까지 확인은 못했지만 최근에 가을이 되어 타이어 공기압 알람이 뜨는 바람에

타이어를 확인하게 되었네요.

이런, 앞 타이어가 중간 라인이 거진 닳아서 갈아야 할 정도,

 

어떻게 할까 하다가 근처 타이어 가게에 알아보니 금호크루젠 235/ 55 R19 타이어가

15만 원 정도...

좀 비싸네요. 그전에 제가 할인했을 때 샀던 가격이 짝당 13만 원 정도 했는데

2년 정도 지났으니 1만 원은 더 저렴해야 하지 않나?

인터넷으로 알아보니 타이어는 12만 원에 공임비 무료에 네이버 플러스포인트까지 1만 5천 원 적립,

마이단골로 등록해야 최대 적립됩니다.

 

구매 직전에 해당 업체에 알아보니 오늘 갈 수 있다고 합니다.

바로 구매를 누를고 장착점으로 찾아갔습니다.

 

타이어 교환에 얼라인먼트가 없으면 가격이 인터넷 가격 그대로네요.

 

타이어 점검하면서 엔진오일 교환, 6만 5천,

앞 타이어 브레이크 패드가 5만 원, 이건 원래 4만 원인데

정품이 없어 1만 원 추가되었습니다.

 

아래 사진은 새 브레이크패드의 모습인데요.

앏은 라인 쪽에 다다르면 패드의 기능을 할 수 없습니다.

저의 브레이크패드는 10%밖에 안남아서 좀더 닳으면 원 디스크가

손상이 생기기 때문에 교환했습니다.

--> 원 디스크가 손상이 생기면 20만원 이상의 비용이 발생합니다.

 

하루에 쓴 돈이 엄청나지만 가성비 있는 것으로 판단되네요.

싼 데를 찾아 헤맬 수도 있지만 이 정도면 양호합니다.

 

정말 이곳이 타이어 맛집입니다.

싸게 잘한 것같아 오늘은 기분이 아주 좋습니다.

 

 

728x90
반응형
:
Posted by mapagilove
728x90
반응형

K2 등산화 카이,  기능이 가격을 누르다

안녕하세요. 마파기 입니다.

사실 낚시를 많이 다니는 탓에 등산화를 사면 등산도 하지만 낚시를 가는게

일입니다.

 

갯바위 낚시를 즐기는 탓에 등산화는 3년을 못하는게 현실,

이번에는 물에도 강하고 가벼운 등산화를 고르기 위해

아웃도어 매장을 많이 들렀었습니다.

제가 많이 가는 메이커는 트랙스타, 밀레인데요.

아무래도 이것 저것 고르다 보니 못고르고 있다가 K2쪽으로 갔는데

비싸서 못사는 등산화가 30%세일에

 

디자인도 이쁘고, 고어텍스, 밑창 1회 교환에다가

더 대단한 것은 등산화가 사이즈도 큰데

너무 가볍다는 사실,

사실 저는 비싼 등사화를 샀던게 20만원인데 이것보다 5%는 더 나가는 가격

하지만,

바로 구매했습니다.

착용감과 무게때문에 피로도가 덜할 거라는 확신이 들더군요.

괜찮는 등산화 입니다. K2 카이

728x90
반응형
:
Posted by mapagilove
728x90
반응형

미소페 로퍼, 저렴에 가성비가 좋네요

안녕하세요. 마파기입니다.

얼마 전 신고 있던 탠디 로퍼가 똭, 바닥이 해지고 옆에 실밥에

옆구리가 터져서 뭘 살까 하다가 가성비 신발을 한 번 봐볼까

생각이 들어 인터넷 검색 중 그럴듯한 로퍼를 구매해봅니다.

 

가격은 7만8천원, 우선 싸다

구매해서 보니 제가 자주 신던 탠디보다는 가죽이 단단한 느낌이네요.

단단한 게 멋스러워 간지보다는 느낌이 있습니다.

 

단단한 느낌이 정통 구두의 느낌이 들고 딱딱한 느낌에 발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드는데..

 

 

신어보니 멋스럽네요. 그리고, 발에게 주는 느낌은 정말 딱딱했고

바닥 또한 딱딱해서 신발을 신고 오래 활동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극약 처방으로 신발 깔창을 하나 깔고 신었습니다.

 

깔창에 양말까지 신으니 발에 딱입니다.

회사에 한 달 정도 신고 다녀보니 아주 일상 댄디스타일과 핏이 잘 맞습니다.

 

미소페 로퍼, 가성비 일상 신발로 딱입니다.

만약, 오래 신고 싶으시다면 메인이 아닌 서브로 신으시고

바닥 고무가 딱딱한 편이니 폭신한 깔창 깔으시면 됩니다.

728x90
반응형
:
Posted by mapagilove
728x90
반응형

 

그린뉴딜 정책 수혜주로 투자가 성공할 수 있을 까요?

 

데이터센터, 풍력발전 등 디지털·그린뉴딜에 투자하는 '뉴딜펀드'는 언제부터 시작되나요?



뉴딜펀드는 정부가 코로나19 이후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국가발전전략으로 내세운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에서 가장 핵심적 부분아라고 합니다.

 

뉴딜사업에 필요한 돈의 일부는 정부가 투자하고,

나머지는 펀드로 민간에서 투자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뉴딜펀드입니다.



뉴딜펀드의 3가지 유형은 정부의 재정자금이 후순위 출자로 들어가 펀드에서 손실이 날 경우

정부가 이를 먼저 부담하는 '정책형 뉴딜펀드', 세제지원을 통해 뉴딜 인프라 사업에 집중 투자하는

'뉴딜 인프라펀드', 민간 스스로 펀드 조성에 참여하는 '민간 뉴딜펀드' 입니다.

출시일은 미정이지만 년내 혹은 내년에 시작해서 정책형 펀드의 경우,

정부·정책금융기관이 5년간 7조 원을 출자해,

민간·금융기관 등의 출자금액과 합쳐져 20조 원을 투입하게 됩니다.

 

뉴딜펀드가 성장하면서 투자자들이 부자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728x90
반응형
:
Posted by mapagilove
반응형